⭐ 추천글 (Editor’s Picks)
Jimmy Fontana – Il Mondo (1965) | About Time OST 해석과 뮤직비디오 줄거리, 가사 번역 및 감정 해설
- 공유 링크 만들기
- X
- 이메일
- 기타 앱
Jimmy Fontana – Il Mondo (1965) | About Time OST
🎤 Artist: Jimmy Fontana · 🎶 Genre: Italian Pop Ballad · 📅 Release: 1965
🎬 Film: About Time (2013) · 웨딩 장면 삽입으로 재조명된 명곡
🎭 주요 등장인물
- 🌍 세상(Il Mondo) — 사랑과 상실, 기쁨과 고통, 희망과 절망을 모두 품은 채 멈추지 않고 회전하는 거대한 무대다. 곡의 제목이자 주인공이며, 인간사를 비추는 보편적 거울이다.
- 🫀 화자 — 상실 속에서 눈을 뜨고 주위를 바라보는 사람. 개인적 고통을 넘어 세계의 흐름과 마주하며 삶을 깨닫는 존재다.
- 💑 사랑하는 이들 — “이제 막 시작된 사랑”과 “이미 끝난 사랑” 모두를 포함한다. 그들의 이야기는 특정 개인의 것이 아니라, 모든 세대와 청중이 공유하는 공통된 기억과 감정을 상징한다.
- 👂 청중 — 곡을 듣는 우리 자신. 각자의 경험과 겹쳐지며, “나만의 세상”과 “모두의 세상”이 겹쳐지는 순간을 체험하게 된다.
🎬 노래 & 맥락 요약
이탈리아어 Il은 ‘그(the)’, Mondo는 ‘세계(world)’를 뜻해 직역하면 “그 세계(The World)”가 된다. 한국어 감각으로는 “온 세상” 혹은 “한 세상”이라 옮길 수 있으며, 노래 제목에는 단순한 명칭을 넘어 인간의 삶과 사랑을 아우르는 보편적 의미가 담겨 있다.
Il Mondo는 “세상은 멈추지 않는다”는 단순하면서도 깊은 메시지를 전한다. 사랑이 무너져도, 기쁨이 지나가도, 고통이 덮쳐도 세계는 묵묵히 돌아간다. 이 냉정함 속에서 오히려 위로와 강인함을 찾게 되는 것이 곡의 핵심 정서다.
영화 About Time에서는 웨딩 장면에 삽입되며, 사랑과 삶의 불완전함을 동시에 포용하는 순간을 만들어낸다. 개인의 사건은 지나가지만, 그 순간의 감정은 세계의 회전 속에 각인되어 반짝인다.
📖 뮤직비디오 줄거리 (영화 About Time)
이 곡은 영화 About Time의 가장 상징적인 장면, 팀과 메리의 결혼식에서 울려 퍼진다. 결혼식은 처음에는 완벽해 보이지만, 갑작스러운 폭우가 내리며 하객들이 흠뻑 젖고, 예식장은 혼란에 빠진다. 하지만 이 혼란은 오히려 웃음과 따뜻한 분위기를 만들며, 진정한 결혼의 의미를 드러낸다.
남자 주인공(Team) / 도널 글리슨 Domhnall Gleeson |
여자 주인공(Mary) / 레이첼 맥아담스 Rachel McAdams |
팀의 아버지 / 빌 나이 Bill Nighy |
카메라는 비에 젖은 하객들, 서로를 부여잡고 웃음을 터뜨리는 가족, 그리고 궂은 날씨에도 서로를 바라보며 미소 짓는 신랑 신부를 교차 편집으로 담아낸다. Il Mondo의 선율은 이 순간을 감싸며, 세상이 흔들려도 사랑은 흔들리지 않음을 노래한다.
줄거리의 핵심은 단순하다. “세상은 변덕스럽지만, 사랑은 그 안에서 웃음을 찾는다.” 곡과 장면이 만나면서, 관객은 삶의 불완전함을 아름다움으로 바꾸는 사랑의 힘을 직접 체험하게 된다.
🔎 해석 및 주제
가사는 상실과 허무 속에서도 세계가 계속 돌아감을 받아들이는 데서 출발한다. 잠시 모든 게 멈춘 듯 느껴져도, 아침은 찾아오고, 우리는 다시 살아내야 한다. “밤은 늘 낮을 뒤쫓는다”는 구절은 삶의 리듬을 압축한 은유다.
이 노래가 던지는 메시지는 단순하지만 강력하다. “상실을 통과해도 삶은 계속되고, 그 연속성 속에서 사랑은 새롭게 태어난다.” 그래서 이 곡은 위로이자 다짐이며, 우리를 다시 앞으로 나아가게 하는 작은 힘이다.
📊 요약 테이블
요소 | 설명 |
---|---|
분류 |
🎵 1965년 이탈리아 팝 발라드 🎼 서정적 멜로디와 오케스트레이션 중심의 정통 감성 🌍 영화·광고·예능 등에서 세대를 넘어 재발견되는 스탠더드 |
가사 핵심 |
⏳ 세상은 사랑의 시작과 끝, 기쁨과 고통을 담은 채 멈추지 않는다 🫶 상실을 인정하는 용기 속에서 새로운 위로와 출발을 발견한다 |
감정 곡선 |
🌑 체념 → 🌗 수용 → 🌕 회복과 다짐 💫 반복 청취 시 정서적 안정과 삶의 순환감을 느낄 수 있다 |
청취 포인트 |
🎙️ 담백하면서도 깊은 울림의 보컬, 후렴 반복의 최면적 효과 🎯 ‘밤이 낮을 뒤쫓는다’는 가사 한 줄이 삶의 리듬 전체를 요약한다 |
Lyrics & 번역 🎼
Strofa A
No, stanotte amore non ho più pensato a te Ho aperto gli occhi per guardare intorno a me E intorno a me girava il mondo come sempre
노, 스따노떼 아모레 논 오 삐우 뻰사또 아 떼 · 오 아뻬르또 리 오끼 뻬르 과르다레 인또르노 아 메 · 에 인또르노 아 메 지라바 일 몬도 꼬메 쎔쁘레
📝 의역 🇰🇷
- 아니요, 사랑하는 그대여. 오늘 밤 나는 더 이상 그대를 떠올리지 않았어요.
- 나는 주위를 둘러보려고 눈을 떴고,
- 언제나처럼 내 주위에서는 세상이 돌고 있었죠.
🔎 해석 / 감정 해설
- ‘잊었다’고 말하지만, 곧장 세계의 연속성을 목격한다는 역설이 핵심입니다.
- 개인의 멈춤과 세계의 지속이 대비되며, 상실 직후의 초연함/허무가 동시에 스며듭니다.
Ritornello A
Gira, il mondo gira nello spazio senza fine Con gli amori appena nati Con gli amori già finiti Con la gioia e col dolore della gente come me
지라, 일 몬도 지라 넬로 스빠찌오 센짜 피네 · 꼰 리 아모리 아뻬나 나띠 · 꼰 리 아모리 쟈 피니띠 · 꼰 라 죠이아 에 꼴 돌로레 델라 젠떼 꼬메 메
📝 의역 🇰🇷
- 돌아요, 세상은 끝없는 공간 속에서 계속 돌아요.
- 이제 막 시작된 사랑들과,
- 이미 끝나버린 사랑들과,
- 나 같은 사람들의 기쁨과 슬픔과 함께요.
🔎 해석 / 감정 해설
- 사랑의 시작/종결, 기쁨/고통이 동시 존재하는 “인간 조건”을 요약합니다.
- ‘나 같은 사람들’은 화자의 사적 경험을 보편 감정으로 확장시키는 관문입니다.
Interludio
Oh, mondo Soltanto adesso, io ti guardo Nel tuo silenzio io mi perdo E sono niente accanto a te
오, 몬도 · 쏠딴또 아데쏘 이오 띠 과르도 · 넬 뚜오 실렌지오 이오 미 뻬르도 · 에 소노 니엔떼 아깐또 아 떼
📝 의역 🇰🇷
- 오, 세상이여.
- 바로 지금에서야 나는 너를 바라봅니다.
- 너의 침묵 속에서 나는 길을 잃고,
- 너의 곁에서 나는 아무것도 아닌 존재가 되죠.
🔎 해석 / 감정 해설
- 거대한 세계(침묵) 앞에서 자아의 규모를 자각하는 겸허함의 순간입니다.
- 상실이 끝내 데려다 놓는 지점—‘나’의 축소가 아니라 ‘세계와의 연결’로 시야가 넓어지는 역설을 말합니다.
Ritornello B
Il mondo non si è fermato mai un momento La notte insegue sempre il giorno Ed il giorno verrà
일 몬도 논 시 에 페르마또 마이 운 모멘또 · 라 노떼 인세궤 셈쁘레 일 죠르노 · 에드 일 죠르노 베라
📝 의역 🇰🇷
- 세상은 단 한순간도 멈춘 적이 없어요.
- 밤은 늘 낮을 뒤쫓고,
- 그리고 낮은 다시 찾아올 거예요.
🔎 해석 / 감정 해설
- 삶의 순환을 응축한 모티프. ‘어둠 뒤엔 빛’이라는 보편적 위로가 직설로 전달됩니다.
- 절망의 지속 가능성보다, 회복의 필연성을 믿게 만드는 반복 문장입니다.
Ritornello Finale
Il mondo non si è fermato mai un momento La notte insegue sempre il giorno Ed il giorno verrà
일 몬도 논 시 에 페르마또 마이 운 모멘또 · 라 노떼 인세궤 셈쁘레 일 죠르노 · 에드 일 죠르노 베라
📝 의역 🇰🇷
- 세상은 멈추지 않아요.
- 밤은 언제나 낮을 뒤쫓고,
- 새로운 하루는 반드시 돌아옵니다.
🔎 해석 / 감정 해설
- 같은 구절의 반복은 그 자체로 ‘세계의 회전’을 청취자가 체감하게 하는 장치입니다.
- 결말부의 확언은 노래를 삶의 다짐으로 전환시키며 여운을 길게 남깁니다.
🏆 성과 & 파급력
- 🌍 세대를 넘는 회자 — 발매 이후 반세기 동안 영화·광고·예능에서 반복적으로 사용되며, 세대를 초월해 살아남은 스탠더드의 위상을 증명했다.
- 🎞️ 영상 매체 친화성 — “세상은 계속 돈다”는 메시지가 장면 전환과 회상 장면에 탁월하게 어울려, 결혼식·엔딩·회고 장면에서 꾸준히 선택된다.
- 💌 감정 증폭 장치 — 개인적 추억, 이별, 재회의 맥락과 결합하면 곡의 울림은 몇 배로 확장된다. 커버·편곡·공연 레퍼토리로도 꾸준히 사랑받고 있다.
- 📈 플랫폼 재발견 — 스트리밍과 숏폼 클립을 통해 젊은 세대 유입이 늘며, 과거 명곡이 현재형 공감으로 다시 번역되는 대표 사례다.
Il Mondo는 곧 ‘시간의 노래’다. 개인의 사랑 이야기를 세계의 리듬과 연결해 보편적 감동을 이끌어내며, 매체와 세대를 넘어 생명력을 이어간다.
👤 Artist Profile
👤 본명: Enrico Sbriccoli (예명 Jimmy Fontana)
🎂 출생: 1934년 11월 13일 · 이탈리아 카메리노 — 2013년 9월 11일(78세) 로마에서 타계
🏡 성장 배경: 재즈와 라틴 등 다양한 장르에 호기심이 많았으며, 밴드 활동을 통해 무대 감각과 작사·작곡 역량을 키웠다.
📚 음악적 기반: 보컬·작곡·편곡을 모두 소화하는 전천후형 아티스트. 라이트 팝에 재즈 감수성을 더해 서정성과 대중성을 동시에 강조했다.
🌱 영향: 이탈리아 칸초네 전통과 미국 재즈/스탠더드의 조화를 흡수하며, 담백한 서사와 직선적인 멜로디 라인이 특징이다.
🚀 전환점: 1960년대 중반 팝 영역으로 스펙트럼을 넓히며 유럽권 대중에 본격적으로 알려졌다. 영화·방송과의 접점이 늘어나며 인지도를 확장했다.
🎵 대표곡: Il Mondo (시대를 넘어 재조명되는 스탠더드), 그 외 다수의 싱글과 협업을 통해 폭넓은 레퍼토리를 남겼다.
🌍 의의: 개인적 감정을 보편적 언어로 번역하는 능력이 탁월했다. 간결한 선율 안에 장면·기억·시간을 동시에 불러내는 ‘감정의 촉매’ 같은 음악 세계를 구축했다.
![]() |
Souce: wikipedia (Fontana with wife Leda and son Roberto in Treia, Italy, ca.1970) |
🧭 함께 보면 좋은 글
-
💕 연인 궁합 테스트 — 우리 사랑의 케미 지수 확인하기
Il Mondo가 말하는 “삶은 계속 돌고, 사랑은 그 안에서 새로 태어난다”는 메시지를 일상의 관계로 확장해 보는 읽을거리다. 신뢰·소통·갈등 조정·애착 성향 등 핵심 지표를 간단한 문항으로 점검해볼 수 있으며, 결과 리포트는 강점과 보완 포인트를 구체적인 행동 가이드로 제시한다.
- 🧭 관계 나침반: 갈등이 생겼을 때 되짚어볼 공통 언어를 제공한다.
- 🔎 자가 진단: 신뢰/소통/공감 영역별 체감 점수와 짧은 코멘트가 나온다.
- 🛠 실천 팁: “하루 10분 감정 체크-인”, “주 1회 미니-리추얼” 등 바로 적용 가능한 제안이 포함된다.
결혼식 장면의 따뜻한 유머와 회복 탄력성을 좋아했다면, 이 글을 통해 두 사람이 ‘함께 도는 세계’를 어떻게 단단하게 만들지 실제 방법으로 연결할 수 있다.
- 공유 링크 만들기
- X
- 이메일
- 기타 앱
댓글
댓글 쓰기
소중한 의견을 댓글로 남겨주세요! (We’d love to hear your thoughts in the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