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
라벨이 차이나바람인 게시물 표시
⭐ 추천글 (Editor’s Picks)
‘제3세계 동지’ 신뢰…주요 인프라 ‘중국제’
- 공유 링크 만들기
- X
- 이메일
- 기타 앱
검은 대륙 희망 찾기 ⑦ 중국, 적인가 동지인가 권혁철 기자 · 서수민 기자 » 수단 하르툼의 한 건설 현장. 중국 노동자와 현지인이 취재 협조 요청에 미소로 응했다. 하르툼/김경호 기자 jijae@hani.co.kr 아프리카의 관문 역할을 하는 남아프리카공화국 요하네스버그 오아르(OR) 탐보공항. 보안검색 요원이나 항공사 승무원들은 눈길이 마주치는 동양인들에게 “니하오”(안녕) “쎄쎄”(감사) 등 중국어 인사를 건네곤 한다. 느닷없는 중국인 취급에 한국인이나 일본인은 당황하지만, 이는 그만큼 최근 수십 년간 중국의 아프리카 진출이 활발했음을 보여준다. 취재진이 아프리카 시골 마을에 가면, 처음 보는 동양인을 향해 아이들이 “시나(중국인)!”라고 외치곤 했다. 60·70년대 일본 부상기에 서구에서 ‘동양인=일본인’이 통하던 것처럼, 오늘의 아프리카에서는 ‘동양인=중국인’이라는 인식이 자리 잡았다. 70년대부터 무상원조 공세… 전 지역서 ‘차이나 바람’ 자원 놓고 미·중 패권 다툼… 현지 노동력 비활용 불만도 » 아프리카 원유 하루 생산량 / 중국-아프리카 국가별 무역 규모 아프리카 주요 산업 기반의 상당 부분은 ‘중국제’로 구축됐다. 대표적 사례가 수단이다. 산유국임에도 정유시설이 부족하던 수단은 2000년 완공된 하르툼 정유공장 을 통해 본격적인 석유 수출국으로 도약했다. 이 공장은 중국국영석유회사(CNPC)와 수단 광업에너지부가 합작했으며, 제트 연료·중유·엘피지를 생산한다. 가동 기술과 엔지니어의 상당수 역시 중국에서 왔다. “서구와 달리 중국은 정치에 간섭하지 않고 비즈니스를 안다”는 현지인의 평가는 이러한 맥락을 드러낸다. 중국의 아프리카 진출은 1950~60년대 제3세계 외교에서 출발해, 1970년대부터는 공공건물·체육관·병원·도로·주택·학교 등 무상 원조 로 신뢰를 쌓았다. 식민지배 기억 때문에 서방에 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