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추천글 (Editor’s Picks)
✈️ 비행기 보조배터리 완벽 가이드 | 2025 최신 국내외 항공사 규정 총정리
- 공유 링크 만들기
- X
- 이메일
- 기타 앱
비행기 보조배터리 규정을 제대로 이해하지 못하면 공항 검색대에서 불필요한 시간 지연이나 반입 거부를 당할 수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용량 기준, Wh 계산법, 항공사별 최신 규정, 지퍼백 사용법, 탑승 전 체크리스트까지, 실제 탑승객 입장에서 꼭 알아야 할 정보를 모았습니다.
🔋 비행기 보조배터리 용량 기준
국제 항공 규정(ICAO/IATA)에 따르면 보조배터리는 Wh(와트시) 기준으로 반입 가능 여부와 수량이 정해집니다.
- 100Wh 이하: 별도 승인 없이 기내 반입 가능 ✅ (단, 대부분 항공사에서 최대 5개로 제한)
- 100~160Wh: 항공사 사전 승인 필요, 최대 2개까지 ⚠️
- 160Wh 초과: 기내 반입 및 위탁 수하물 모두 금지 ❌
대부분의 10,000mAh~20,000mAh 보조배터리는 약 37~74Wh로 계산되어, 일반 여행자가 사용하는 범위에서는 문제없이 반입 가능합니다.
※ 수량 기준은 항공사별로 상이할 수 있으니, 반드시 탑승 전 항공사 공식 규정을 확인하세요.
🧮 Wh 계산 방법 계산기 포함
제품에 Wh 표기가 없는 경우, 다음 공식으로 직접 계산할 수 있습니다.
Wh = (mAh × V) ÷ 1000
예: 20,000mAh × 3.7V ÷ 1000 = 약 74Wh
🔢 보조배터리 Wh 계산기
mAh(밀리암페어시)와 전압(V)을 입력하면, 즉시 Wh 단위와 반입 가능 여부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 보조배터리 용량별 예상 Wh 표
보조배터리 용량 | 예상 Wh | 반입 가능 여부 |
---|---|---|
5,000mAh | 약 18.5Wh | 가능 ✅ |
10,000mAh | 약 37Wh | 가능 ✅ |
20,000mAh | 약 74Wh | 가능 ✅ |
26,800mAh | 약 99Wh | 가능 ✅ |
30,000mAh | 약 111Wh | 사전 승인 필요 ⚠️ |
50,000mAh | 약 185Wh | 반입 불가 ❌ |
※ 계산은 전압 3.7V 기준이며, 제품별 전압에 따라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 항공사별 보조배터리 규정 (수량 제한 포함)
항공사마다 허용 기준·승인 절차·수량 제한이 다릅니다. 탑승 전 반드시 각 항공사의 공지를 확인하세요.
항공사 | 100Wh 이하 | 100~160Wh | 수량 제한 | 비고 | 항공사별 규정 |
---|---|---|---|---|---|
대한항공 | 가능 | 사전 승인 후 가능 |
5× 2× |
포장 권장 | 대한항공 규정 확인 |
아시아나항공 | 가능 | 사전 승인 필요 |
5× 2× |
사용 제한 가능 | 아시아나 규정 확인 |
제주항공 | 가능 | 사전 승인 필요 |
5× 2× |
개수 제한 명시 | 제주항공 규정 확인 |
티웨이항공 | 가능 | 사전 승인 필요 |
5× 2× |
2개 이내 | 티웨이 규정 확인 |
진에어 | 가능 | 사전 승인 필요 |
5× 2× |
단자 보호 필요 | 진에어 규정 확인 |
표기 안내:
- 대한항공·아시아나·제주항공·티웨이·진에어 → 100Wh 이하 최대 5×, 100~160Wh 2×(승인)
- 대한항공은 100Wh 이하라도 6개 이상은 의료용 등 특별 사유 + 항공사 승인이 필요한 예외 사항입니다.
🌍 해외 주요 항공사 규정 (수량 제한 참고)
한국을 포함한 주요 항공사들의 일반적인 가이드입니다. 세부 정책은 노선, 좌석 등 조건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니 반드시 공식 페이지에서 최신 정보를 확인하세요.
- 델타항공: 100Wh 이하 예비 배터리는 최대 20개까지 휴대 가능, 100~160Wh는 항공사 승인 후 최대 2개까지 기내 휴대 가능합니다.
- 유나이티드항공: 100~160Wh 예비 배터리는 최대 2개까지 허용됩니다. 100Wh 이하 수량 제한은 공식적으로 명시되지 않았습니다.
- 에미레이트항공: 2025년 10월 1일부터 100Wh 이하 파워뱅크 1개만 기내 휴대 허용, 기내 사용 및 충전 금지이며, 100~160Wh는 허용되지 않습니다.
🛡️ 지퍼백 사용법
- 보조배터리는 반드시 지퍼백·파우치에 단독 보관
- 충전 케이블과 섞지 않기
- 여러 개를 가져간다면 각각 개별 포장
👉 보안검색대 통과가 빨라지고, 단락(쇼트) 위험을 예방할 수 있습니다.
📌 탑승 전 체크리스트
- 보조배터리 Wh 용량 확인
- 단자 보호 포장(지퍼백 등) 준비
- 반드시 기내 반입
- 항공사별 규정 사전 확인
- 100Wh 초과 시 사전 승인 완료
🙋 자주 묻는 질문 (FAQ)
Q1. 비행기에는 몇 Wh 이하 보조배터리만 반입할 수 있나요?
👉 원칙적으로 100Wh 이하는 기내 반입 가능(위탁 금지)입니다. 대부분 국내 항공사는 100Wh 이하 최대 5개, 100~160Wh는 승인 후 2개를 적용합니다.
Q2. 30,000mAh 보조배터리도 가져갈 수 있나요?
👉 30,000mAh × 3.7V ÷ 1000 ≈ 111Wh로 계산되며, 100~160Wh 구간이므로 항공사 사전 승인 대상입니다.
대부분의 항공사에서 최대 2개까지 허용하며, 기내 반입만 가능합니다.
Q3. 보조배터리를 여러 개 가져가도 되나요?
👉 가능합니다. 다만 수량 제한은 항공사별로 다릅니다. 100Wh 이하는 보통 최대 5개, 100~160Wh는 승인 후 2개까지가 일반적입니다.
참고로 휴대폰·노트북 등 기기에 장착된 배터리는 ‘여분(Spare) 배터리’ 수량 제한과 별개로 취급되며, 역시 기내 휴대만 허용됩니다.
※ 위 수량 기준은 보조배터리/여분(Spare) 배터리에 적용됩니다. 장착형 배터리는 수량 제한과 별도이지만, 위탁 금지·기내 휴대 원칙은 동일합니다.
✅ 결론
비행기 보조배터리 규정은 까다롭게 느껴지지만, 핵심은 단순합니다. Wh 확인 → 단자 보호 → 기내 반입 → 항공사 규정 준수. 이 4가지만 지키면 어떤 항공편에서도 문제없이 여행을 시작할 수 있습니다.
※ 2025년 8월 기준 정보이며, 항공사별 최신 규정이 최종적으로 적용됩니다. 탑승 전 각 항공사 공지를 꼭 확인하세요.🧭 함께 보면 좋은 글
✍️ 작성자: bitevoyage · 최종 업데이트: 2025-08-31
댓글
댓글 쓰기
소중한 의견을 댓글로 남겨주세요! (We’d love to hear your thoughts in the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