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추천글 (Editor’s Picks)
BTS – Butter (2021) | MV 리뷰 & Artist Profile
- 공유 링크 만들기
- X
- 이메일
- 기타 앱
BTS – Butter (2021)
🎤 Artist: BTS(방탄소년단) · 💿 Single: Butter · 🎶 Genre: Dance/Pop/Funk · 📅 Release: 2021.05.21
🎬 Director: Yong Seok Choi (Lumpens) · 🌍 Note: 글로벌 메가 히트, ‘디스코-팝’ 계보 확장
🎬 뮤직비디오 해석 & 스토리
① 모노톤 인트로 → 옐로우 팔레트 — 흑백에 가까운 첫 인상이 ‘매끈함(smooth)’의 감각을 강조하며 시작합니다. 이후 노란색(버터)의 상징색이 화면 전반을 채우며, 텍스처 자체가 곡의 질감이 되죠. 헤어 핏·슈트 실루엣·미세한 카메라 틸트가 전반의 ‘윤기’를 시각화합니다. 🍋
② 아이코닉 제스처 & 훅 — “Side step right-left” 훅은 좌우 스텝의 단순 제스처를 ‘집단적 리듬’으로 확장시킵니다. 카메라는 미세한 돌진/후퇴로 관객과의 거리를 조절하며, 미러 샷·하이라이트 키 라이트로 ‘슈퍼스타 글로우’를 설득력 있게 체감하게 해요.
③ 세트 전환: 로비·스테이지·조명 월 — 세련된 로비/스테이지, 라이트 월 등으로 전환되며 화면 밀도가 꾸준히 상승합니다. 멤버별 개별 프레이즈가 쌓인 뒤 군무로 결속되는 구조는 ‘개인의 자신감 → 팀의 카리스마’라는 확장 곡선을 형성합니다.
④ 디테일 클로즈업 — 헤어 스윕, 손 키스, 글러브·슈즈 클로즈업처럼 미세 제스처를 과감히 확대해 ‘버터처럼 미끄러운 태도’를 캐릭터화합니다. 포즈 사이의 빈 호흡까지 리듬으로 흡수하는 연출이 특히 견고합니다.
⑤ 엔딩 & 팬에게의 사인 — 후반부 라이트 월/대형 스테이지에서 에너지는 절정에 달하고, 슬로건·포즈·합으로 완성되는 피날레는 ‘우리가 신호를 보내면 ARMY가 응답한다’는 노랫말을 화면으로 봉인합니다. ⚡️
📊 요약 테이블
요소 | 설명 |
---|---|
등장 인물 | BTS 전원 — RM, Jin, SUGA, j-hope, Jimin, V, Jungkook. 개별 포즈/프레이즈→군무 결속으로 개인 카리스마 × 팀 시너지를 확장. |
뮤비 특징 | 블랙&옐로우 팔레트, 글로시 질감, 라이트 월/대형 스테이지. 훅 제스처를 시각적 아이콘으로 고정해 ‘참여형 감상’을 유도. |
주요 감정 | 자신감, 유혹, 장난기. ‘부드러움’의 미학을 거만함 대신 세련된 태도로 번역 — 보는 이의 에너지를 고양시키는 쿨&브라이트 무드. |
핵심 메시지 | Smooth is power. 미끄럽게 파고드는 자신감과 팀의 일사불란한 합 — 보여줌(show)으로 설득하는 팝의 미덕. |
Lyrics & 번역 🎼
Verse 1
Smooth like butter Like a criminal undercover Gon' pop like trouble Breakin' into your heart like that
📝 의역 🇰🇷 (문장 단위)
- 버터처럼 매끈하게 스며들고,
- 비밀스럽게 움직이는 고수처럼 은밀하게 다가가며,
- 작은 사건처럼 톡 하고 터져 분위기를 바꾸고,
- 그런 식으로 네 마음속까지 파고든다.
🔎 해석 / 감정 해설
- 힘으로 밀어붙이기보다 ‘부드러움’으로 장면을 장악하는 유혹의 태도.
Hook cue
Oh when I look in the mirror I'll melt your heart into 2 I got that superstar glow so Do the boogie like
📝 의역 🇰🇷 (문장 단위)
- 거울을 보는 순간,
- 네 마음을 두 조각 나도록 사르르 녹여 버릴 자신이 있고,
- 내겐 ‘슈퍼스타의 광채’가 분명히 있으니,
- 말 그대로 그 느낌대로 춤춰 보자.
🔎 해석 / 감정 해설
- 자기 확신 → 행위 지시로 이어지는 흐름이 관객 참여를 촉발.
Chorus
Side step right left to my beat (heartbeat) High like the moon rock with me baby Know that I got that heat Let me show you 'cause talk is cheap Side step right left to my beat (heartbeat) Get it, let it roll
📝 의역 🇰🇷 (문장 단위)
- 내 비트에 맞춰 오른발–왼발로 스텝을 맞춰 봐,
- 달처럼 높이 떠올라 내게 맞춰 흔들어 봐,
- 내 안엔 이미 뜨거운 열기가 있어,
- 말만 하지 말고 내가 직접 보여 줄게,
- 다시 한 번, 내 비트에 맞춰 스텝을 밟고,
- 알겠지? 그대로 풀어 두고 흘려 보내—레츠 롤.
🔎 해석 / 감정 해설
- 설득의 방식이 ‘설명’이 아닌 ‘시연’으로 전환되는 코러스의 논리.
Rap / Bridge
No ice on my wrist I'm that n-ice guy Got that right body and that right mind Rollin' up to party got the right vibe Smooth like butter Hate us love us
📝 의역 🇰🇷 (문장 단위)
- 손목에 보석은 없어도,
- 나는 ‘나이스’하고 쿨한 타입이고,
- 몸도 마음도 균형 잡혀 있으며,
- 파티에 들어서는 순간 분위기를 제대로 맞춰 내고,
- 그 모든 게 버터처럼 매끄럽게 흘러가,
- 우릴 미워하든 사랑하든 결국 반응하게 만들지.
🔎 해석 / 감정 해설
- 아이템보다 태도가 본질이라는 선언—‘부드러움 = 힘’의 재확인.
Outro chant
We gon' make you rock and you say (yeah) We gon' make you bounce and you say (yeah) Hotter? Sweeter! Cooler? Butter!
📝 의역 🇰🇷 (문장 단위)
- 우리가 널 들썩이게 만들면 너는 “예!” 하고 화답하고,
- 우리가 널 튀게 만들면 너는 또 “예!” 하고 응답해,
- 더 뜨겁게?
- 더 달콤하게!
- 더 시원하게?
- 정답은—버터!
🔎 해석 / 감정 해설
- 콜앤리스폰스로 에너지 극대화, 라이트 월/군무와 결합해 피날레 완성.
🏆 성과 & 파급력
- 📊 US Billboard Hot 100 #1 — 글로벌 메인스트림 팝 시장에서의 존재감을 확정한 기록.
- ▶️ YouTube 24시간 최다 조회 신기록 범주의 화제성 — 발매 직후 전 세계적 동시 시청/챌린지 확산.
- 🎧 스트리밍/라디오/디지털 차트를 횡단하며, ‘참여형 훅’의 파급력을 증명.
- 🏅 각종 시상식 주요 부문 후보/수상으로 이어진 대중·평단 동시 설득의 사례.
“Butter”는 ‘보여주는 태도’만으로도 장면을 장악할 수 있음을 증명합니다. 과장된 드라마 대신 윤기·템포·제스처의 정밀도를 끝까지 밀어붙여, 누구나 곧장 따라 할 수 있는 손짓과 스텝으로 세계의 피드를 점령했죠. ‘부드러움’이야말로 가장 강력한 설득이라는 선언입니다.
👤 Artist Profile
👥 그룹: BTS(방탄소년단) · 7인조 보이그룹. 팀명에는 “총알을 막아낸다”는 뜻처럼, 시대가 던지는 편견과 억압을 음악으로 돌파하겠다는 의지가 담겨 있어요. 힙합 기반으로 출발했지만, 팝·알앤비·EDM·디스코까지 장르 스펙트럼을 넓혀 세계적 보편성을 획득했습니다.
🎂 데뷔: 2013년 6월 13일. 작은 기획사 출신으로 시작했지만, 탄탄한 서사와 퍼포먼스로 글로벌 팬덤을 빠르게 확장했습니다. 자작곡·프로듀싱·콘텐츠 제작 참여가 높은 팀 문화 덕분에, 앨범마다 명확한 세계관과 메시지가 구축됩니다.
🧩 멤버: RM(리더/메시지·랩 디렉션) · Jin(보컬/탄탄한 톤) · SUGA(프로듀싱/래퍼) · j-hope(메인 댄스/랩) · Jimin(보컬/댄스 라인) · V(바리톤 보컬/개성 톤) · Jungkook(메인 보컬/올라운더). 각 멤버의 캐릭터가 뚜렷해, 유닛·솔로·단체 서사를 유기적으로 엮어내는 것이 강점입니다.
🏡 팀 정체성: ‘청춘·성장·자기 수용’의 서사를 핵심축으로, 현실의 언어로 감정을 번역합니다. SNS·콘텐츠를 통한 상시적 소통이 팬덤과의 신뢰를 만들었고, 공연·챌린지·캠페인으로 이어지며 ‘참여형 문화’를 구축했어요.
📚 음악/퍼포먼스 훈련: 라이브 중심의 보컬 트레이닝과 하드한 안무 리허설을 병행합니다. 랩/보컬/댄스가 분업되면서도, 각 파트의 상호 보완을 위해 프로듀싱·디렉팅까지 팀 단위로 논의하는 제작 문법이 정착되어 있습니다.
🌱 영향: 올드스쿨 힙합·알앤비·소울의 리듬 감각과, 영미 팝의 멜로디 라인을 흡수해 BTS식 감정선으로 재배치합니다. 강한 비트 위에서도 서정성을 잃지 않는 편곡, 호흡과 제스처까지 음악 일부로 끌어들이는 무대 연출이 특징입니다.
🚀 돌파구: ‘I Need U’로 본격적인 대중 서사에 안착한 뒤 ‘Run’ ‘Blood Sweat & Tears’ ‘Spring Day’ ‘DNA’ ‘Fake Love’ ‘Boy With Luv’로 세계적 인지도를 고도화했습니다. 영어 싱글 ‘Dynamite’로 초(超)메인스트림을 열었고, 이어진 Butter로 ‘부드러움=힘’이라는 태도를 팝의 언어로 완성했죠.
🎵 대표곡: Spring Day(위로와 그리움의 정수) · Boy With Luv(경쾌한 시그니처 팝) · Dynamite(글로벌 디스코-팝의 기점) · Butter(미니멀 훅과 제스처의 교과서) 등. 시대와 무드에 따라 변주되지만, ‘진심의 전달’이라는 골격은 일관됩니다.
💿 레이블/크레딧: HYBE / BIGHIT MUSIC. 협업 프로듀서·송라이터와의 글로벌 워크플로가 체계화되어 있으며, 멤버들이 작사·작곡·디렉팅에 폭넓게 참여합니다.
🌍 의의: BTS는 차트를 넘어 문화적 상징이 되었습니다. 무대 위 서사와 일상의 소통이 맞물리며 ‘팬덤=창작 공동체’ 모델을 확립했고, 언어의 장벽을 퍼포먼스와 감정선으로 돌파하는 방식을 전 세계 팝 씬에 제시했습니다.
🧈 Butter Era Focus
🎨 비주얼: 블랙&옐로우 팔레트, 라이트 월, 글로시 텍스처. 미세한 헤어 스윕·손 키스·스텝 같은 제스처를 ‘아이콘’으로 고정해, 짧은 숏폼에서도 즉시 인지되는 브랜드 이미지를 창출했습니다.
🎧 사운드: 미니멀 훅, 펑키 베이스, 스톰프-클랩 리듬. “Side step right–left” 같은 간결한 구문이 안무 지시와 합쳐져, 무대 밖 참여를 자동으로 유발하는 구조를 완성합니다.
🏆 임팩트: 글로벌 메인스트림 차트 정상과 대형 시상식 후보/수상으로 이어지며, ‘보여줌으로 설득하는 팝’의 정수를 각인시켰습니다. Butter는 태도·제스처·톤만으로 장면을 장악하는 BTS의 현재형을 대표합니다.
🧭 함께 보면 좋은 글
-
🌏 Top 10 Real Korean Experiences You Can’t Miss
한국 현지에서 놓치면 아쉬운 실제 체험 10선. 로컬 무드에 ‘버터’의 쿨함을 더하는 여행 동선.
-
🔮 테토 vs 에겐 성향 분석
성향의 차이가 음악 취향/댄스 반응에 미치는 영향 — ‘스텝’ 선택의 심리학.
-
💞 연인 궁합 테스트
나와 파트너의 리듬이 맞을까? right–left–스텝 케미 지수로 알아보는 취향 상성.
댓글
댓글 쓰기
소중한 의견을 댓글로 남겨주세요! (We’d love to hear your thoughts in the comments!)